본문 바로가기

GO~젊은대학

'명지둥둥섬'이 될 순 없잖아? (1)

 

'명대신문에 바란다'란 기고란은 <명대신문(명지대학교 신문)>을 퇴임한 선배 기자가 후배 기자들에게 부탁하는 전언을 담는 공간이다.  일반 학우가 기고한 경우엔 '명대신문을 읽고'라고 제목이 변경된다.

 

퇴임기자들의 순번에서 이번에 내 차례가 돌아왔고 4월 9일에 발행된 신문에 게재될 예정이었다. 하지만 9일 아침에 <명대신문>을 펴고선 깜짝 놀라야 했다. 지면에 실린 제목과 이름과 얼굴은 내것이 분명했지만 내용은 내것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대학 당국에 대한 비판을 담아서 글이 무단으로 편집된 건 아닐지 걱정하며 신문사로 뛰어갔다. 내가 대학신문 기자였던 시절에, 그리고 수년간 대학을 다니며 보아온 이 대학의 과거는 그런 생각을 하는게 전혀 이상하지 않으니까. 다행히<?> 그것은 아니었다. 조판 과정에서 본문이 교체되지 않은 것을 꼼꼼히 확인하지 못한 신문사 후배들의 실수였다. 어쨋든 언론탄압을 당한 것은 아니었기에 다행이었다.

 

 

 

 <명대신문>의 Facebook 담벼락에 올라온 글.  

 

 

하지만, 좋은 때를 놓친 것은 아쉬웠다. 총선 직전이었던 4월 9일에 발행될 신문이었다. 글은 명지대학교 당국의 문제를 비판함과 동시에 투표 참여를 독려하는 내용이었다. 그 아쉬움에 <'명지둥둥섬'이 될 순 없잖아?>란 제목의 해당 글을 블로그에 올린다. 그리고 총선이 끝나고 나서 게재될 다음 글은 어차피 내용을 대부분 수정해야 할 테니.

 

하지만 명지대학교 당국에 대한 비판은 4월 9일에도, 4월 16일에도 여전히 유효할 것 같다. 하여 <'명지둥둥섬'이 될 순 없잖아?> 란 제목은 그대로 다음 글의 제목이 될 것이다. 다만 총선이 끝나고 그 결과가 반영될 다음 글에선 보다 많은 희망을 전할 수 있게 되기를 바란다.  

 

 

 

<'명지둥둥섬'이 될 순 없잖아?> (1)

_ <명대신문> 935호_4월 9일, 게재 예정이었던

박용석 (경정 04)

 얼마 전 《88만원세대》의 공저자 우석훈 교수는 책의 절판을 선언했다. “20대가 저항하지 않는 것을 정당화하는데 일조했기 때문”이란 것이 이유였다. 그 판단이 옳다고 생각지는 않지만 그의 비관을 조금은 이해할 수 있을 것 같다.

 

 그래도 희망은 있다고 본다. 그보다 조금 더 전에 아이들에게 공짜로 밥 주기 싫다고 시장 직을 걸었다가 내쫓긴 자가 있었으니까. 오세훈 전 서울시장에게 급식은 권리가 아닌 상품이었다. 그것은 관점의 차이일 수도 있다. 그러나 그는 급식이 보편적 권리라고 주장하는 국민들에게 내쫓겼다.

 

 오세훈의 몰락은 20대가 여전히 보편적 권리를 확대하기 위한 저항에 나서고 있다는 증거이기도 했다. 그리고 국회의원 선거를 앞둔 지금, 세상엔 지난 반성을 딛고 빼앗긴 권리를 되찾기 위한 젊은 함성이 그리 크진 않지만 넓게 퍼지고 있다.

 

 하지만 명지대학교 교정에선 그 소리가 잘 들리지 않는다. 마치 세상과 동떨어진 섬 같다. 그런 명지대학교 학생이기에 우석훈 교수의 비관을 조금 이해할 수 있다. 하여 명지대학교가 ‘명지둥둥섬’이 되진 않을지 걱정스럽다. 오세훈이 한강 한복판에 남겨놓고 간 ‘새빛둥둥섬’처럼, 저항하지 않고 변명만 늘어놓았던 반성의 상징이 될 공간 말이다.

 

 “학교의 주인은 학생이 아니에요”란 말은 명지대학교 학생에겐 웹툰에나 나오는 우스갯소리가 아니다. 몇해 전 ‘등록금 설명회’에서 기획조정실장이었던 주상호 교수가 그리 말했다. 학교의 주인이 누구인지는 관점의 차이일 수도 있다. 하지만 나는 대학의 주인은 학생이며 교육은 권리라고 생각한다. 그런데 이런 이야기는 명지대학교에선 허황된 이상인지도 모르겠다. 우리의 정당한 권리를 빼앗기고 정의가 실종 되고 있는데 학생들은 너무 잠잠하기만 하니까.

 

 이 대학은 사상초유의 재단비리, 사학의 족벌세습, 빈번한 언론탄압, 부당한 노동자 해고, 학생 감시와 폭행, 종교자유권 유린 등 문제투성이다. 무엇보다도 등록금만 엄청 비싼 대학이기도 하다.

 

 때문에 명대신문이 조금만 더 힘내주길 부탁한다. 우리 대학이 역사에 ‘새빛둥둥섬’처럼 흉하게 남지 않도록 말이다. 그리고 학우들에게도 부탁한다. 우리의 권리를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행위, 투표를 잊지 않기를 말이다. 그마저도 하지 않는다면 그 이상의 권리를 이야기 하는 건 당치 않은 일인지도 모른다.